소식과 정보

  • 홈
  • 소식과 정보
  • 언론보도

[] [화제의 법조인] 이윤우 변호사 "의뢰인 불안 해소..전문성으로 이룰 터"

페이지 정보

최고관리자 작성일25-03-20

본문

[파이낸셜뉴스] "의뢰인에게 가장 중요한 건 법으로 다투고자 마음먹은 불안한 상황과 심정을 해소하는 것입니다"
 

6934bea6fab4a9bd20575cd68736e77efc857ffa9tr1.jpg

제51대 대한변호사협회 수석대변인 출신인 이윤우 청백공동법률사무소 대표 변호사(42·변호사시험 7회· 사진)는 15일 "어떤 류의 사건이든 가리지 않고 상황 마다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진해왔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간 이 변호사는 다양하고 복잡한 법률 사건들 속에서도 매번 전문성을 확보하고 분야의 확장을 지속적으로 추구해왔다. 그는 "어떤 분야를 주안점으로 두고 매진하지는 않는다"면서도 "그러나 확장된 분야의 사건을 담당할 때마다 전문성 확보를 위해 열성을 다한 덕에 다양함과 깊이를 갖춘 변호사가 돼가고 있다"고 소회를 밝혔다.

최근 이 변호사는 지방자치단체가 공공기관에 대해 손해배상 청구를 한 사건의 피고 대리를 맡아 이미 대법원 패소 확정 판결된 사건의 법리를 뒤집었다. 손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새로 제기된 소송도 패소를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 변호사는 "확정 판결의 기판력에도 불구하고 새로 제기된 소송이 달리 판단 받아야 하는 사유를 어렵게 제시해 손해배상액을 큰 차이로 줄일 수 있었다"며 "확정 판결의 경우 이를 다투어 뒤집기는 어려워 손을 놓는 경우가 많은데, 포기하지 않고 노력해 법원의 유리한 판단으로 변경한 보람 있던 소송"이라고 회상했다.

 

조상 땅 찾기 소송도 이 변호사는 두각을 나타냈다. 통상 조상 땅 찾기 소송은 조상에 대한 근거 자료 등 증거가 부족해 패소 하기 일쑤인데, 이 변호사는 법원으로부터 변론 및 증거 능력을 인정 받았던 것이다.

그는 "조상의 부동산이 있고 자신이 상속인이라는 점을 입증하려면 분명한 증거를 제출해야 하는데, 어려운 경우가 꽤 있다"며 "이 사건도 1심에서 입증 부족으로 패소 판결을 받은 사건이고 분명한 증거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었지만 조상 성씨가 독특한 점, 해당 부동산이 있는 지역에 조상 성씨의 일파가 퍼져있는 점, 과거와 현재의 제적등본을 면밀히 분석해 원고가 '법적 상속인'일 수 밖에 없는 점 등을 입증해 항소심에서 승소 판결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사건은 입증의 방법과 정도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었다"며 "다양한 방법으로 법관의 합리적 판단을 가능케 하는 수준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을 배울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이 변호사는 다수의 학교 폭력 사건을 맡아 승소 판결을 이끌었는데, 이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그는 "학교 폭력 사건의 경우 우선 학교폭력심의위원회에서 조치를 받게 되는데, 심의위원회의 판단은 합법적이기 보다는 다소 감정적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또한 이를 다투기 위해서는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을 거쳐야 하는데, 행정소송의 경우 앞선 판단을 뒤집는 것이 어렵다는 평이 많다"고 지적했다.

이 변호사는 승소 사건 가운데 아쉬움이 남는 사건도 소개했다.

음악 저작물의 작곡과 작사의 경우 법원은 일관되게 '공동 저작물'이 아닌 '분리된 결합 저작물'로 판단하는데, 이 때문에 작곡가가 자신의 곡을 작사가의 동의 없이 양도 등을 해도 제지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그는 "어떤 가수가 가사를 작사해서 이에 맞는 노래를 작곡할 것을 의뢰했는데, 작곡가는 그 곡을 제3자에게 마음대로 양도한 상황이었다. 이 같이 탄생한 노래의 가사와 곡은 기존과 같이 분리된 저작물로만 볼 수 없다는 점을 근거로 법원에 손해배상 청구한 사건"이라며 "청구는 인용돼 의뢰인의 억울함을 다소 풀었지만 그 근거가 공동 저작물이 아니라 신뢰 관계를 깬 일반 손해배상 책임으로 결론 지어진 건 아쉬운 점"이라고 했다.

이 변호사는 앞으로의 목표에 대해 "변호사라는 직업은 소송 대리를 통해 경제 활동을 하는 지위에 있지만 명예직임을 부정할 수 없다"며 "그 만큼 수익을 떠나 당사자가 닥친 상황에서 정확한 법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양심적이고 건전한 변호사로 자리매김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X

개인정보처리방침

법무법인 진수(이하 법무법인 진수)은(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목적)

법무법인 진수 (이)가 개인정보 보호법 제32조에 따라 등록․공개하는 개인정보파일의 처리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개인정보 파일명 : 인적사항
개인정보의 처리목적 : 법률 서비스 제공
수집방법 : 생성정보 수집 툴을 통한 수집, 전화/팩스, 서면양식, 홈페이지
보유근거 : 통신비밀보호법 등
보유기간 : 준영구
관련법령 :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개월,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한 기록 : 5년,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신용정보의 수집/처리 및 이용 등에 관한 기록 : 3년

제2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인적사항

필수항목 : 이름, 휴대전화번호, 접속 로그, 상담신청 절차에서 발생된 정보
선택항목 :

제3조(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파기방법)

법무법인 진수 은(는) 개인정보 보유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기절차
법무법인 진수 은(는)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법무법인 진수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파기방법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제4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에 관한 사항)

① 정보주체는 법무법인 진수에 대해 언제든지 개인정보 열람·정정·삭제·처리정지 요구 등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법무법인 진수에 대해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41조제1항에 따라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 하실 수 있으며 법무법인 진수 은(는) 이에 대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③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 하실 수 있습니다.이 경우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제2020-7호)”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④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4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습니다.
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⑥ 법무법인 진수 은(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합니다.

제5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에 관한 사항)

법무법인 진수 은(는)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개인정보의 안전한 처리를 위하여 내부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습니다.

제6조(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장치의 설치·운영 및 그 거부에 관한 사항)

① 법무법인 진수 은(는)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가. 쿠키의 사용 목적 : 이용자가 방문한 각 서비스와 웹 사이트들에 대한 방문 및 이용형태, 인기 검색어, 보안접속 여부, 등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됩니다. 나.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인터넷 옵션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 할 수 있습니다. 다.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에 관한 사항)

법무법인 진수 은(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성명 : 도진수
직책 : 총괄대표변호사
직급 : 총괄대표변호사
연락처 : 02-508-8703, dojinsoo@jinsoolaw.co.kr

​제9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 (www.kopico.go.kr)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 (privacy.kisa.or.kr)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개인정보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 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10조(개인정보 처리방침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5년 3월 3일부터 적용됩니다
X

면책공고

본 웹사이트는 법무법인 진수 을(를) 소개하고 법무법인 진수 이(가) 취급하는 법률서비스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뿐, 구체적 사안에 관한 법률적 자문이나 홍보를 위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법무법인 진수 의 웹사이트 방문자들께서는 여기에 게재된 내용만을 근거로 하여 구체적인 사안에 관하여 어떠한 결정을 하시는 일이 없도록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제되는 특정한 사실관계 및 상황에 대하여 전문가의 조언 또는 자문을 받지 아니한채 단지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자료에 기초하여 어떤 행위를 하거나 하지 아니하여 야기되는 결과에 대하여 법무법인 진수 은(는)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또한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들은 법무법인 진수의 사전동의 없이 어떠한 형태로도 재생, 복사, 배포 될 수 없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